■ 개념
2021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 및 평가 중 점검대상 윈도우 서버의 W-04 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 점검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해당 포스팅은 윈도우 서버(Windows Server 2012 R2)를 기준으로 진단 및 실습합니다.
항목명 |
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
|
|
항목코드 | W-04 | |
위험도 | 상 | |
점검내용 |
계정 잠금 임계값의 설정 여부 점검
|
|
점검목적 |
계정 잠금 임계값을 설정하여 공격자의 자유로운 자동화 암호 유추 공격을 차단하기 위함
|
보안위협 |
공격자는 시스템의 계정 잠금 임계값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자동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모든 사용자 계정에 대해 암호조합 공격을 자유롭게 시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계정 정보의 노출 위험이 있음
※ 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은 사용자 계정이 잠기는 로그온 실패 횟수를 결정하며 잠긴 계정은 관리자가 재설정하거나 해당 계정의 잠금 유지 시간이 만료되어야 사용할 수 있음 ※ 계정 잠금 정책: 해당 계정이 시스템으로부터 잠기는 환경과 시간을 결정하는 정책으로 ‘계정 잠금 기간’, ‘계정 잠금 임계값’, ‘다음 시간 후 계정 잠금 수를 원래대로 설정’ 의 세가지 하위 정책을 가짐 |
|
판단기준
|
양호 |
계정 잠금 임계값이 5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
|
취약 |
계정 잠금 임계값이 6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
|
|
조치방법 |
계정 잠금 임계값을 5번 이하의 값으로 설정
|
■ 실습
W-04 점검항목은 윈도우 서버의 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 여부를 점검하여 양호/취약을 판단합니다. 아래 메뉴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메뉴 : 시작> 실행> SECPOL.MSC> 계정 정책> 계정 잠금 임계값
"계정 잠금 임계값"을 "5"이하의 값으로 설정
진단 스크립트 상에는 LockoutBadCount 레지스트리 값으로 계정 잠금 임계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본 포스팅 내용은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에서 발행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.
반응형
'IT > 윈도우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6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의 사용자 포함 (2) | 2023.01.10 |
---|---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5 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 해제 (0) | 2023.01.06 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3 불필요한 계정 제거 (0) | 2023.01.05 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2 Guest 계정 비활성화 (0) | 2023.01.05 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1 Administrator 계정 이름 변경 또는 보안성 강화 (0) | 2023.01.0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