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개념
2021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 및 평가 중 점검대상 윈도우 서버의 W-05 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 해제 점검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해당 포스팅은 윈도우 서버(Windows Server 2012 R2)를 기준으로 진단 및 실습합니다.
항목명 |
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 해제
|
|
항목코드 | W-05 | |
위험도 | 상 | |
점검내용 |
해독 가능한 암호화 사용 여부 점검
|
|
점검목적 |
'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' 정책이 설정되어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가 해독 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저장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
|
보안위협 |
위 정책이 설정된 경우 OS에서 사용자 ID, PW를 입력받아 인증을 진행하는 응용프로그램 프로토콜 지원 시 OS 는 사용자의 PW 를 해독 가능한 방식으로 암호를 저장하기 때문에, 노출된 계정에 대해 공격자가 암호 복호화 공격으로 PW를 획득하여 네트워크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음
※ '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' 정책은 암호를 암호화 하지 않은 상태로 저장하여 일반 텍스트 버전의 암호를 저장하는 것과 같으나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동작하지는 않음 |
|
판단기준
|
양호 |
"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" 정책이 "사용 안 함" 으로 되어 있는 경우
|
취약 |
"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" 정책이 "사용" 으로 되어 있는 경우
|
|
조치방법 |
"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"을 "사용 안 함"으로 설정
|
■ 실습
W-05 점검항목은 윈도우 서버 계정에 하드코드 유무를 확인하여 양호/취약을 판단합니다. 해독 가능한 암호로 사용될 경우 보안에 취약합니다. 아래 메뉴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메뉴: 시작> 실행> SECPOL.MSC> 계정 정책> 암호 정책
"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"을 "사용 안 함"으로 설정
진단 스크립트 상에는 ClearTextPassword 레지스트리 값으로 판단하며 0은 '사용 안 함', 1은 '사용'입니다.
본 포스팅 내용은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에서 발행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.
반응형
'IT > 윈도우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7 공유 권한 및 사용자 그룹 설정 (3) | 2023.01.21 |
---|---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6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의 사용자 포함 (2) | 2023.01.10 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4 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 (0) | 2023.01.06 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3 불필요한 계정 제거 (0) | 2023.01.05 |
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윈도우 서버 W-02 Guest 계정 비활성화 (0) | 2023.01.05 |
댓글